라이젠 젠2 3500X -> 5600 -> 5700X3D

X470 AORUS GAMING 7 WIFI-50 (rev. 1.1)

삼성 C다이 시금치 16GB 2666 20년 22주차 * 4개 = 풀뱅 64GB  

 

 

램 값도 싸고, 보드가 T-topology 라 풀뱅이 땡겨서 해봤습니다.

다만 이걸 혹시나 따라할 사람이 있을까 하는 말이지만, 안하는게 낫습니다. 안정화 테스트가 너무 오래걸립니다.

TM5 ADV4 10회 돌리는데 2시간 40분 걸립니다. HCI도 8시간 한 130 % 까지만 하고 껐습니다.

y-cruncher 사용 추천 (밑에 Flag 참고)

http://www.numberworld.org/y-cruncher/

 

y-cruncher - A Multi-Threaded Pi Program

(Last updated: April 5, 2025 ) The first scalable multi-threaded Pi-benchmark for multi-core systems... How fast can your computer compute Pi? y-cruncher is a program that can compute Pi and other constants to trillions of digits. It is the first of its ki

www.numberworld.org

 

 

세부 램타는 링크 1의 '라이젠 온라인 램타이밍'  SAFE 세팅과 링크 2를 참고해 넣었습니다. tFAW=24, tRRDS = 6 을 넣어야하는데 좀 잘못넣은것 같네요

 

ZenTiming 은 라이젠 마스터에 비해 보기도 편하고 모든 세부램타가 다 나와있어서 추천드립니다.

 

 

 

https://coolenjoy.net/bbs/37/224574

 

쿨엔조이,쿨앤조이 coolenjoy, cooln, 쿨엔, 검은동네

pc,컴퓨터, 하드웨어,CPU오버클럭,VGA쿨러,오버클럭,PC튜닝,케이스튜닝,cpu,vga

coolenjoy.net

https://coolenjoy.net/bbs/overclock/745958

 

쿨엔조이,쿨앤조이 coolenjoy, cooln, 쿨엔, 검은동네

pc,컴퓨터, 하드웨어,CPU오버클럭,VGA쿨러,오버클럭,PC튜닝,케이스튜닝,cpu,vga

coolenjoy.net

240317

위 램타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아래로 수정

BIOS F63

램전압은 1.35 tCL~tRC, tFAW, tRFC만 수정 나머지는 오토

 

241129

 

5700X3D 변경하면서 3733 시도함. 3866은 일단 잘 안되는데..

3733에서 쪼을 만큼은 쪼은 것 같음. tFAW 16 적용했고 tRP+tRAS = tRC = 63 해야하는데 추후 수정 예정

 

250419 

수정사항

1. 바이오스 업뎃 F65d -> F65g

2. tRP+tRAS = tRC = 63 적용

3. tFAW = 16 재적용

 

이건 다른 시스템 램 오버클럭

라이젠 젠3 Vermeer 5 5600

ASUS TUF GAMING B450M-PRO II | BIOS 4631 |  AGESA version: ComboV2 PI 1.2.0.E

삼성 C다이 시금치 16GB 2666 18년 05주차 * 2개 = 32GB  

PBO도 적용함 (아래 표 참고)

 

 

 

참고로, 5700X3D는 PBO Curve Optimizer 막혀있어서 조절못함. 하는 방법이 있긴 한데

 

https://www.2cpu.co.kr/lec/4748

 

5800X3D Curve Optimizer 적용하기 :: 2cpu, 지름이 시작되는 곳!

sfl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이름 이름(코) stx sop and or 검색

www.2cpu.co.kr

1)PBO2 tuner 방법 

윈도우 상 프로그램으로 조절 - 기각

 

2)바이오스 프로필 불러오기

CPU교체하고 번거로워 보여서 안할 예정

 

분명히 최신바이오스면 X470 보드에서 지원된다해서 메뉴 찾다가 시간 날림.

 

 

https://sshmyb.tistory.com/174

 

[DRAM #4] 한 눈에 보는 DRAM 동작원리

여러분들 DRAM의 구조부터 동작원리, 차세대 DRAM 까지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DRAM 동작원리가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고 많은 분들이 피드백해주셔서, 이번 장을 통해 조금 더 상세하게 다루어

sshmyb.tistory.com

DRAM 딜레이 내용 - 회로적인 해석

 

https://quasarzone.com/bbs/qf_overclocking/views/40579

 

[램오버] 시금치 C다이 램타특성 (램타 설정하는 방법)

램타의 특성은 극명하게 차이가 나는 시금치C다이와 튜닝램 삼성B다이(고성능)의 두 계열로 크게 분류할 수 있…

quasarzone.com

C다이 1차 램타 참고 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esktopcomputer&no=4975

 

젠4/젠5 램 오버, 대역폭이냐 레이턴시냐? - 데스크탑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esktopcomputer&no=4492 라이젠 7700 DDR5-6000 CL28 후기 - 데스크탑

gall.dcinside.com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esktopcomputer&no=2462&page=1

 

데갤 정보글 모음 (~2024.09.22) - 데스크탑 마이너 갤러리

데갤의 명물 정보글 모음집주딱의 꿈은 데갤을 어둠의 퀘존으로 만드는 것 이다정보글은 보이는 대로 간간히 업데이트 예정목록1. PC 조립 가이드- PC 조립 따라하기: 1편 CPU 장착https://gall.dcinsi

gall.dcinside.com

 

 

y-cruncher 바로가기 Flag

stress -M:59G -D:300 FFTv4 VT3

stress -M:27G -D:300 FFTv4 VT3

 

PBO참고

https://quasarzone.com/bbs/qb_tip/views/48492

 

라이젠마스터 자동 CURVE OPTIMIZER 방법(PBO2)

예전부터 퀘이사존사이트로 많은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게되어 매번 고맙게생각했었습니다. 이번에 라마 업데이트된것…

quasarzone.com

https://quasarzone.com/bbs/qb_tip/views/47089

 

10분 AMD PBO2 커브옵티마이저 설정 팁

ㅋㅋㅋㅋㅋㅋㅋ초간단 10분 커브옵티마이저 설정 팁준비물 AMD 라이젠3 CPU유틸 AMD RYZEN MAST…

quasarzone.com

https://coolenjoy.net/bbs/37/229600

 

젠3 (5800X) CPU & RAM 오버클럭 가이드 3탄 (PBO & Curve Optimizer) > 팁 강좌 | 쿨엔조이

링크 #1 : 램 오버클럭링크 #2 : CPU 오버클럭3탄으로 다시 인사 드립니다.오버게시판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는 스페셜원이라고 합니다드디어 마지막 PBO까지 왔습니다.PBO만져 보면서 드는 생각 그

coolenjoy.net

 

 

 

본 글은 KT GiGA WiFi Wave 2 기가 와이파이 웨이브 2 공유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며 다른 공유기에서도 비슷한 메뉴들을 찾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구버전 및 리마스터 통칭)는 오래전에 출시 된 게임을 완전히 갈아엎는 게 아니라 Remaster하는 식으로 구버전과의 호환성을 유지했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90년대 시절의 똥입니다. 그래서 고사양 게임이 분명히 아님에도 불구하고 렉이 걸리는데, 이는 네트워크로 인한 렉이고 6112 포트를 열어주어야 해결됩니다.

0. 순서

1. IP 고정

2-1. 포트포워딩

2-2. Super DMZ

3. 방화벽 규칙 설정

4. 스타크래프트 네트워크 설정

 

1. IP 고정

만약 IP 고정에 실패하셨더라면 사용하는 공유기의 Super DMZ 설정을 먼저 보시고 2-2. Super DMZ 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사용자 기기의 IP 주소가 고정되어야만 매번 컴퓨터를 켜서 IP를 할당받을 때마다 포트포워딩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

 

Win + R 로 실행 창을 키고 cmd 를 쳐서 켜줍니다. 또는 cmd 를 직접 검색창에 쳐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주어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ipconfig 를 쳐줍니다.

이 창은 추후에도 볼 일이 많으니 계속 켜둡니다.

 

IPv4는 0~255까지의 숫자 조합 4개로 이루어져 있고 통상적인 공유기 환경이라면 마지막 숫자가 계속해서 바뀌는 식의 IP 동적할당이 이루어집니다. 우리는 고정된 IP를 할당하고 싶습니다.

 

기본 게이트웨이에 써진 그대로 복사해서 인터넷 주소창에 붙이기를 해서 들어갑니다. 

공유기마다 기본 게이트웨이가 다르니 다른 공유기를 사용 중이시라면 제 값을 따라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KT GiGA WiFi Wave 2 기가 와이파이 웨이브 2 공유기 기준으로

기본 아이디 / 비밀번호는 ktuser / homehub 입니다.

공유기마다 기본 아이디 / 비밀번호는 제품에 붙어있는 라벨의 모델명을 참조하시면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고 왼족 장치설정 - 네트워크 관리 - LAN 연결 설정을 들어갑니다.

 

아래 수동 IP 할당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타겟 MAC 주소는 현재 접속된 PC를 클릭하여 현재 접속 중인 기기의 MAC 주소를 받아옵니다.

 

할당 IP는 현재 할당된 IPv4 주소, 즉, 위의 cmd창에서 확인한 IPv4의 마지막 숫자를 넣어줍니다.

 

설명은 아무렇게나 넣어도 됩니다.

 

추가를 누르고 공유기가 다시 시작하는 걸 기다려줍니다.

 

위와 같이 되었다면 정상적으로 IP를 고정시킨 것입니다.

 

 KT GiGA WiFi Wave 2 기가 와이파이 웨이브 2 공유기 기준으로는 여기까지만 하셔도 고정 IP 설정을 마쳤습니다만,

 

일부 다른 공유기들에서는 추가로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 클릭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클릭

 

이더넷 클릭

속성 클릭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더블클릭

다음 IP 주소 사용 클릭

하면 DNS 서버 주소도 수동으로 설정하게 바뀝니다.

 

IP주소에는 본인이 공유기 홈페이지에서 설정했던 값을 넣어주세요.

서브넷 마스크와 기본 게이트웨이는 cmd창의 ipconfig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DNS 서버 같은 경우에는 각 공유기 설정 창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KT GiGA WiFi Wave 2 기가 와이파이 웨이브 2 공유기 기준으로는 홈페이지에 아래와 같이 나와 있습니다.

 

이를 그대로 똑같이 넣어주면 됩니다.

 

2-1 . 포트포워딩

다시 공유기 페이지에서

위와 같이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었습니다. 여기까지 되셨다면 3번으로 가시면 됩니다.

 

2-2. Super DMZ

추천해 드리지는 않습니다만, IP를 고정시키는게 실패해 포트포워딩을 설정을 해줄 수가 없는 경우에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 메뉴 바로 아래에 DMZ 설정에서 SuperDMZ를 활성화해주면 됩니다. 

 

기기의 변하지 않는 고유 주소인 MAC 주소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3. 방화벽 규칙 설정

 이 부분도 필수로 해주어야합니다.

윈도우 검색창에 방화벽을 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방화벽 상태 확인을 눌러줍니다.

 

고급 설정을 눌러줍니다.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둘 다 건드릴 거지만 일단 인바운드 먼저 합니다.

 

인바운드 규칙 -> 새 규칙 -> 프로그램 

 

찾아보기 -> 스타크래프트 설치 폴더 C:\Program Files (x86)\StarCraft\x86 -> StarCraft.exe 선택

이 클라이언트는 32비트용 클라이언트고 x86_64 폴더 안의 StarCraft.exe 는 64비트용 클라이언트 입니다. 둘 다 따로 규칙을 만들어줘야합니다.

 

연결 허용이 기본 선택되어있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기본적으로 다 체크되어있고 다음 눌러줍니다.

이름, 설명은 임의로 넣어도 됩니다.

마침 눌러서 끝내주시고 똑같은 과정을 x86_64 폴더 아래의 StarCraft.exe으로도 추가해줍니다.

 

그리고 인바운드 규칙 메뉴 아래에 있는 아웃바운드 규칙에서도 똑같이 x86_64, x86폴더안의 StarCraft.exe 추가를 해줍니다.

 

4. 스타크래프트 네트워크 설정

설정 - 네트워크에서 6112 포트 선호를 클릭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클라이언트는 아래와 같이 32비트로 실행해주는 것이 호환성 측면에서 좋습니다.

위에서 64비트용, 32비트용 모두 방화벽 허용을 해주었기때문에 렉과는 상관없습니다.

 

 

이상으로 모든 설정을 완료했습니다.

 

궁금증이나 오류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풀 영상

 

https://youtu.be/JDKWPigbqZk

 

 

geekbench 메모리 점수 9200 중후반대.

'삼성B다이에서 이 점수였으면 화났겠지만, 이런 원가절감형 OEM PCB에서는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하나는 30달러, 나머지 한 장은 39달러에 주고 구매했다 했으니 이런 가격이면 나쁘지 않다~' 라고 평함.

현재 한국 가격으로 치면 35000원이니 30달러 수준이고 한창 쌀 적에는 다나와에서 26000원대도 찍었으니 25달러쯤.. 

 

4600 램타이밍

 

Windows 11에서는 최소 요구사항으로 TPM 2.0이 지원되지 않으면 설치를 거부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런데 TPM이 뭔가?

아래 나무위키 참조를 참조하고

https://namu.wiki/w/TPM

 

현재 운영체제 보안은 TPM (Trusted Platform Module)이라는 구성 요소에 상당 부분 의존하는데, 여기에서 여러 값을 확인하고 또 키를 저장합니다. 그래서 보안 탈취를 위해 CPU와 TPM 사이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공격하곤 합니다.

MS의 플루톤 보안 칩. AMD/인텔/퀄컴과 함께 개발 - 컴퓨터 / 하드웨어 - 기글하드웨어 : https://gigglehd.com/gg/?_filter=search&mid=hard&search_keyword=tpm&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8724325

 

MS의 플루톤 보안 칩. AMD/인텔/퀄컴과 함께 개발 - 컴퓨터 / 하드웨어 - 기글하드웨어

마이크로소프트가 플루톤 보안 칩을 발표했습니다. AMD, 인텔, 퀄컴이 협력해서 만든 것으로 CPU에 이걸 내장해 보안을 강화합니다. 현재 운영체제 보안은 TPM (Trusted Platform Module)이라는 구성 요소

gigglehd.com

대충 os 보안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하자. 

 

오늘 우리가 활성화할건 Firmware TPM 이다. 나무위키 설명을 긁어왔다.

 

가장 일반적인 TPM으로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TPM 기능이다.
Discrete TPM과는 달리 암호화된 정보를 저장할수 있는 저장공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CPU 레벨의 지원과 OS 레벨의 지원으로 TPM기능을 가상화해서 사용할수 있다.
AMD 계열의 메인보드에서는 fTPM이라는 명칭으로 제공되고 Intel 계열의 메인보드에서는 Intel Platform Trust Technology (Intel PTT)라는 명칭으로 기능이 제공되어 Firmware TPM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BIOS 설정에서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Skylake (6세대) 이후 Intel CPU와 AMD의 경우 AMD RYZEN 시리즈 이후 모든 프로세서에 fTPM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AMD RYZEN은 2000번대 피나클릿지 이후부터 되는 듯 보이고, 서밋릿지의 경우 B2B라인업인 PRO 라인업만 TPM 2.0을 지원하는 듯 보인다.

 

윈도우 11 지원 cpu 목록 

 

AMD

Windows Processor Requirements Windows 11 Supported AMD Processors | Microsoft Docs 

 

INTEL

Windows Processor Requirements Windows 11 Supported Intel Processors | Microsoft Docs 

 

여기서 CPU 찾아 보시면 됩니다.

대략 4~5년을 안넘으셨으면 보드에서 옵션 만지시면 되는 거고

거기서 걸치거나 이전이면 CPU가 체크에 걸리는 거 같습니다.

 

참고로 AMD 라이젠은 피나클 릿지부터, 인텔은 커피레이크부터가 최저조건인 듯 하네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11 CPU 제한 확인 링크 - 컴퓨터 / 하드웨어 - 기글하드웨어 : https://gigglehd.com/gg/?_filter=search&mid=hard&search_keyword=%EC%9C%88%EB%8F%84%EC%9A%B0&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10374389

 

 

 

TPM 활성화 여부는 실행(윈도우키 + R) -> tpm.msc 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실행 (윈도우키 + R)에 tpm.msc입력
TPM을 활성화한 모습

기본은 비활성화이기 때문에 위와같이 TPM이 활성화되있다고 나오지 않을 것이다. 만약 본인의 메인보드가 위 목록에 나와있는 CPU를 지원하는 보드일 경우, TPM 2.0이 들어가있을터이니 이를 활성화 하는 작업을 해보자.

 

본 가이드는 GIGABYTE X470 AORUS GAMING 7 WIFI-50 (rev. 1.1)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동사의 AMD 보드라면 같은 위치에 있을 것이나 메인보드 제조사와 플랫폼에 따라 다를 것이다. 나무위키 설명에 따르면

 

AMD 계열의 메인보드에서는 fTPM이라는 명칭으로 제공되고 Intel 계열의 메인보드에서는 Intel Platform Trust Technology (Intel PTT)라는 명칭으로 기능이 제공되어 Firmware TPM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BIOS 설정에서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라고 하니, intel 플랫폼이라면 BIOS 에서 Intel Platform Trust Technology (Intel PTT) 항목을 찾아주자.

 

 

일단 바이오스를 들어가야한다. BIOS 들어가는 법은 메인보드 제조사에 따라 DEL이나 F2, F10, F11, F12 등을 부팅시에 눌러보면 된다. 빠른 부팅(Fast Boot) 이 활성화 된 경우, 윈도우에서 Shift를 누른채로 다시시작을 해서 들어가면된다.

 

바이오스 Easy Mode

Easy Mode 에서는 뭘 건드릴 수가 없다. ASUS라면 Advanced Mode나 GIGABYTE의 Classic Mode 와 같은 고오급 모드를 들어가자.

이거 스샷찍겠다고 Easy Mode 를 켜본 것도 처음인 것 같네..

키 설명

윈도우도 자기가 깔아보지 않아서 바이오스를 처음 들어왔으면, 왼측 하단에 적힌 Help 에 할당된 F1이나 Alt 키를 눌러 키 세팅을 확인 할 수 있다. 요즘 바이오스는 마우스도 지원하지만, 방향키와 엔터만 해도 충분하다.

 

아무튼 클래식 모드를 들어가서

 

fPTM 이 비활성화되어있는 모습

Peripherals 탭을 들어가준다. 좌우 방향키를 누르면 탭이 옮겨진다.

AMD CPU fTPM를 활성화 시켜줘야 메인보드에 내장된 TPM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엔터를 눌러보면

방향키를 눌러 Enabled쪽으로 빨간불을 옮겨주고 나서 엔터를 누르면

Enabled 로 바뀐다. 그리고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나가줘야하는데

 

꼭 Save & Exit 를 해주자. ESC버튼을 눌러서 나가면 변경사항이 저장되지않는다. 기가바이트의 경우 F10 버튼을 누르면 바로 Save & Exit 팝업창이 나온다.

 

윈도우로 돌아와 실행(윈도우키 + R) -> tpm.msc 를 해보면 TPM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안정화는 시도해보지 않았지만 별문제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맨처음에는 3733 16-18-18-18-36 58 trfc 560 과 같은 인텔+적당한 튜닝램에서나 볼만한 램타를 넣었습니다만 부팅실패.

 

링크 #1에는 오버 잘먹는다고 되있길래, 이상해서 오버클럭 게시판에 검색해봤더니 링크 #2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다른 게시글도 참조해서 CL14넣었는데.. 그냥 되네요.. 3800은 인피니티패브릭 1900이 안받쳐주는지라 늘 실패해서 포기했습니다.

 

http://coolenjoy.net/bbs/overclock/721484

 

위 링크에 따르면

 

인텔 시스템에서는 tRCD값이 tRP랑 묶여있어서 B다이와 레이턴시면에서 더 큰 격차가 발생.

AMD 시스템에서는 tRCD랑 tRP를 따로 설정해줄수 있어서 16-20-14 같은 특이한 타이밍으로도 안정화가능 (추후 포스팅 예정)

 

와 같이 설명되어있습니다. 

 

해외포럼은 뒤져본적이 없어서 어디로 가서 정보를 찾아봐야할지 감도 안옵니다. 

 

CL값 16주기

 

231130 내용 추가

 

https://gall.dcinside.com/pridepc_new3/12882570

 

마이크론 e다이 램오버하는 법 알려줄겡 - 201304~202010 컴퓨터 본체 갤러리

crucial ballistix sport lt cl15 3000짜리 1년간 라이젠 3600 b450 카본에서 1.5v 3800 14 19 18 18 3600으로 사용중임온갖 씹고사양게임 다 돌림마이크론 e다이램 특징

gall.dcinside.com

 

rucial ballistix sport lt cl15 3000짜리 1년간 라이젠 3600 b450 카본에서 1.5v 3800 14 19 18 18 3600으로 사용중임

 

온갖 씹고사양게임 다 돌림

 

마이크론 e다이램 특징이...

 

1. 인텔에선 내 z490 터프가 ㅄ이어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일단 라이젠에선 3800클럭, 인텔에선 4233클럭까지 올라갔음

 

2. 전압에 강함 얼마 전까지 스팟쿨링 해주다가 일주일 전부터 스팟쿨링 없이 1.5v 때려박고 사용 중인데 문제 0

 

3. 램타는 cl은 잘땡겨지는 반면 그 뒤 램타는 많이 풀어줘야함 걍 cl 뒤 숫자는 5 풀어주자

 

14 19 18 18 36 또는 16 21 20 20 40 이런 식으로

 

4. tfaw 잘 땡겨짐 난 고민도 안하고 걍 16 때려넣었는데 뭐 문제 없더라 라이젠에선... 인텔에서도 땡겼던 거 같음

 

5. trfc는 노답임 걍 오토로 쓰셈 더럽게 안땡겨짐

 

https://www.fmkorea.com/3885115056

 

마이크론 발리스틱 E다이 가성비 추천요

중고 8만원에 구입 해서 1차 램타만 건들어 봤습니다.마이크론 E다이 오버 정보좀 대충 검색 좀 해보고 오버 대충 해봤습니다근데 마이크론 E다이가 TRCDRD는 16 부팅까지 되는데 에러 뿜어서 18이

www.fmkorea.com

 

 

 

 

 

https://coolenjoy.net/bbs/overclock/804057

 

마이크론 E다이 램 사용하시는분계신가요? > 오버클럭 | 쿨엔조이

마이크론 E 다이라서 램타풀때 특성이어떻게 되나요?3600 /3800 / 4000 정도로 사용할생각입니다

coolenjoy.net

 

 

마이크론 모듈의 특성은 삼성모듈과 다르게 50~60도 이상 고온에도 잘버티는 특성이 있구요

tRCDRD 타이밍이 많이 풀어지며 수율이 좋은 마이크론 램일수록 이 타이밍이 많이 조여집니다

 

 

https://quasarzone.com/bbs/qf_overclocking/views/231312

 

크루셜 마이크론 e다이 3800오버 했네요

크루셜 발리스틱스 rgb 3600cl16  입니다리뷰에 마이크론  e다이라고해서 질렀는데 e다이가 맞네요56…

quasarzone.com

 

 

 

https://coolenjoy.net/bbs/overclock/835574

 

5800x / 크헤6익스(x370) / 마이크론e다이 풀뱅 > 오버클럭 | 쿨엔조이

결과적으로는 마음에 썩 들지 않아 하이닉스 CJR로 리턴했습니다. 장터행이 되지 싶어요. ㅎㅎ1. 우선 간단한 시스템 소개를 하자면 가. 5800x : 47.25배수 수동오버, 아틱 리퀴드프리저2 짭수 280미리

coolenjoy.net

  바. 범인은 tRAS와 tRC였음. 공식대로라면 34, 52에서 아무 문제가 없어야 했는데, 36, 54가 되자 귀신같이 모든 문제가 해결됨



  사. 리얼1t와 trcdwr이 8까지 줄여지는 신기함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trfc(조금 더 줄여볼 여지는 있겠지만)가 하닉 cjr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편이라는 단점과 더불어 이번에 구입한 하닉 cjr이 3800에서 cl15까지 내려가는 양품인지라 결국 커세어 하닉CJR 램으로 재장착하며 테스트를 마무리함

 

 

위 글들 결론

1. 전압 높여도 잘 버팀

2. tCL 16

3. tRCDWR 는 겁나 낮춰도 됨. 다만 tRCDRD는 높여야함.

4. tRP는 낮춰도 됨. 이미지에서는 다들 14 까지?

5. tRAS >= 36, tRC>=54 ?? 근데 집컴은 tRAS 24에서 잘 부팅됨.

6. tRFC는 못낮춤 풀어 걍

7. tFAW 잘 내려감

https://namu.wiki/w/%EC%A1%B0%ED%85%8D%EC%BD%94%EB%A6%AC%EC%95%84%20%EC%A0%95%EC%B9%98%EC%82%AC%EC%83%81%EA%B2%80%EC%A6%9D%20%EA%B5%AC%EC%9D%B8%EA%B3%B5%EA%B3%A0%20%EC%82%AC%EA%B1%B4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위 링크를 보시면 됩니다.

 

조텍코리아, 신입사원 모집 공고

"문재인, 박원순을 지지할 것, 선거일에 100%투표 해야함."

 

 

당연히 위법 사항이고

 

사과문, 추후 삭제

 

위와 같은 사과문을 게재하였으나 사과문은 추후 모두 삭제되었고

 

 

사건 당시 해당 직원의 직급은 "차장"이었으며 1인 마케터로 근무중이었다. 2020년 현재 조텍의 마케팅 팀은 5명으로 늘었고 당시 징계를 받았던 해당 직원은 부장으로 승진하였다.

 

 

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dQJwjxUB0LU

GN (Gamers Nexus) 발 리뷰

 

가성비

 

전력소모

성능은 3070 보다 쬐금 좋으면서 MSRP는 3070하고 3080 사이 근데 전력소모는 3080 급

 

 

https://www.youtube.com/watch?v=h3yJEy--Uyc 

Hardware Unboxed 리뷰

 

성능 비교
전력소모

성능은 3070 보다 쬐금 좋은데 근데 전력소모는 3080 급

 

 

 

클럭 변화

 

3070Ti : 3080 : 3090 대충 쿠다코어 수가 3:4:5 비율이고 클럭도 비슷함

근데 전력소모는 비슷. 3070 이하급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임.

 

이러한 성능 / 전력소모의 갭은 GDDR6X말고는 설명이 안된다.

GDDR6X는 GDDR6에 비해 너무 높은 메모리 온도(특히나 채굴이나 딥러닝 시)가 이슈였는데 전력소모가 늘면서 온도가 올라간게 맞다고 봄.

3070 / 3080만 나왔을 때는, 쿠다코어수가 너무 차이나서 제대로 된 비교를 할 수가 없었지만

3070 / 3070 Ti / 3080 나오고 나니 비교가 너무 명확해짐.

쿠다코어수 3070, 3070 Ti 비슷

3070 GDDR6 / 3070 Ti, 3080 GDDR6X 사용

전력소모 3070Ti, 3080 비슷

 

결론

마이크론이 마이크론 했다!

 

https://quasarzone.com/bbs/qf_case/views/68033

 

여러분의 PC는 얼마나 조용하십니까?(저소음 고사양 ITX 세팅)

일반적인 PC사용 환경에 있어서하이엔드의 사양일수록 발열량은 높아지고온도관리를 위해선 쿨링팬의 RPM이 빠른…

quasarzone.com

Deshrouding 이란, 그래픽카드의 가이드와 가이드의 팬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알아서 쿨링을 보강해주는 방식을 말한다. 히트싱크는 제거하지 않는다. 

 

아래의 동영상은 궁금하면 시간나면 보면된다.

 

https://youtu.be/-yQHAMz1v5g

https://youtu.be/QUaZVpN51Po

 

필자가 사용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그래픽카드 

SAPPHIRE NITRO Radeon™ RX 470 4 GB

제로팬을 지원 모델이라 팬이 안돌면 조용한데, 돌기시작하면 특유의 소음이 있다.

 

케이스
BRAVOTEC SWORD S810 RGB 타이탄 글래스 블랙

 

필요한 물품

1. 3R ICEAIR A-2 PLUS 

3R ICEAIR A-2 PLUS

비슷한 물품을 타오바오에서도 찾을 수 있다. 팬 3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부속품이 더 딸려오는 옵션이 있음.

 

필자는 ARCTIC P12 PWM PST 2장을 이용할 예정.

 

2. 그래픽카드 4핀 팬 단자 -> 시스템 용팬 4핀 단자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1968120046.html?spm=a2g0s.9042311.0.0.5c1c4c4dcsXlR5

 

0.86US $ 31% OFF|2Pcs 범용 소형 4 핀 3pin 4pin 팬 PWM 커넥터 확장 케이블 컴퓨터 팬 PVC 그래픽 카드 인터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2가닥이 기본으로 온다.

굳이 2개묶음으로 파는 이유를 모르겠다. 어차피 그래픽카드쪽 단자가 1개밖에 없어서 PST나 Y케이블의 사용이 강제된다.

 

알리에서 파는 제품이 만족스러워 보이지 않으면 

요것도 있다. 근데 길이가 짧아보이고, 어차피 팬에 흐르는 전류가 크지않기때문에 나는 그냥 가격이 싼 알리에서 샀고 1달을 기다려서 받았다.

 

3. 팬 2장

ARCTIC P12 PWM PST BLACK

예전에 P12 PWM PST 벨류팩을 2개 구매해서 남은 팬 2개를 사용했다.

PST 기능을 이용해서 1개의 팬 단자로 4개의 팬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일단 그래픽카드를 시스템에서 분리하여 꺼내준다.

 

필자가 사용한 그래픽카드의 경우에는 팬 가이드 분리가 쉬운편이다.

 

빨간색 원을 친 나사들을 제거하면, 백플과 팬 가이드가 분리된다. 백플은 굳이 건드릴 필요는 없는데, 작업하다보면 거슬리니 한쪽에 치워두고 마지막에 그래픽카드를 시스템에 장착할 때 백플을 올려줘도 된다.

나머지 나사들은 히트싱크와 PCB를 고정시키는 나사들이니 건들 필요가 없다. 

 

사실 이렇게 팬 가이드의 분리가 쉬운 경우는 거의 없고, 대게의 경우에는 팬 가이드가 히트싱크에 작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1. 뒷면의 나사를 모두 풀어줘서 히트싱크+팬 가이드와 PCB와 분리

2. 히트싱크+팬 가이드에서 팬 가이드를 분리

3. 히트싱크와 PCB를 재조립해줘야한다.

 

ICEAIR A-2 PLUS에 팬을 조립하는 건 굳이 설명안해도 될 것 같다.. 

 

그리고 케이스의 PCI 단자쪽에 조립을 해주면

 

측면 강화유리를 빼고 사진을 찍는게 낫겟지만, 귀찮다 그리고 팬이 우측으로 가면 약간 기울어진다.

대충 이런 형상이 된다. 팬이 히트싱크랑 붙어야 효율이 가장 좋다. 케이블타이를 이용해 고정하는 팬을 PCB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다. 나는 굳이 그럴 필요성은 느끼지는 못했는데 왜냐하면 RX470 자체가 동급 GTX1060에 비하면 발열량이 많다고는 해도 애초에 메인스트립급이 발열량이 많지않으니..

 

벤치마크 부하를 돌려봤을때, 최대 온도 76 도가 나온다. 기존 팬을 쓸 때랑 온도는 별 차이가 없는데, 소음차이가 정말 크다. 대만족!

 

이제 내 컴퓨터에서는 ARCTIC 이외의 팬은 찾을 수가 없다. 현재는 EVGA CLC280에 P14 2장을 사용중인데 Liquid Freezer II 사고싶다..

https://forum.corsair.com/forums/showthread.php?t=199359 

퀘이사존 댓글에 달린 링크인데 여기에 재미난 내용이 있어서 가져와봅니다.

 

jonnyguru 라는 양반이 커세어 파워 설계담당자이고 jonnyguru.com 이라는 사이트도 운영중이죠. (현재는 서버문제로 닫힘)

파워에 관심 있으시분들은 http://www.jonnyguru.com/forums/forumdisplay.php?3-PC-Power-Supply-Discussion 가보셔요.

 

https://forum.corsair.com/forums/showthread.php?t=199359 

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시소닉 OEM 제품인 AX1000 가 갑자기 팬이 때때로 급회전하는 것을 불평하는 글입니다.

 

거기에 jonnyguru 가 답한 내용 중 몇 개 가져오자면

 

1. The HX1000 is a MUCH BETTER PSU with a MUCH BETTER fan controller. The HX isn't really "inferior quality". I argue it's actually better quality. Just some inferior performance. But the differences in that respect are negligible (e.g. efficiency, voltage regulation, ripple/noise).

 

As for the performance: Just check out any review from Aris (TechPowerUp or Tom's Hardware) or simply pull up the Cybebetics reports for either.

 

퀄리티 : HX1000 > AX1000

AX1000는 몇가지 성능적인 부분에서만 HX1000보다 뛰어날 뿐이다. 이마저도 차이가 크지않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2.  The fan controller in the AX is very basic. The non-Seasonic built Corsair PSUs use an MCU that controlls the fan with either load, temperature and has a built in hysteresis to bring temperatures down below the temperature threshold that requires active cooling so the fan does not "pulse".

 

시소닉 OEM이 아닌 커세어 PSU에서는 부하율 또는 온도에 따라 MCU가 팬속을 컨트롤하고 hysteresis 소자를 이용해 온도를 낮춰서 팬이 안돌게끔 설계했다. (이 부분은 제가 아는 hysteresis 랑 다른데. 아무튼 원문을 따라 번역했습니다.)

 

3. Actually, the Seasonic units' fan controllers are not load based. You need OPAMPS to measure current and an MCU to report to and they didn't want to re-lay out the PCB to accommodate those or spend the extra money. Their fan is only temp based. Like most other PSU companies, they use load instead of temp to graph the fan curve, but that load is based on a constant 25°C temperature. In other words, they test in a 25°C room, increase the load to heat up the PSU temperature, the fan spins up and they plot the point. Nothing more.

 

As for the high starting RPM: That is because Seasonic uses the DC version of the fan and not the PWM version. The DC version requires, as you state, a minimum voltage to start spinning. With PWM, you just reduce the pulse width so you can reduce the starting voltage. But alas, you need a PWM controller and Seasonic didn't want to spend the extra 15 cents for that part. So that's another reason why the fan is louder.

 

As for the "full speed startup": It's only the AXi that did that. It does that to measure the fan curve to reprogram the MCU. But then we (Corsair) learned that wasn't really necessary and that the fans don't differ that much from one to the other (given that all other things are equal), so the HXi and newer Zero RPM fans do not "rev up". They only do an initial test spin that shows the fan is working and that's only about 650 RPM for about three seconds. You can't hear it.

 

시소닉의 팬컨은 부하율에 근거한 것이 아니다. 부하율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OPAMP와 이를 보고받는 MCU가 필요한데, 시소닉측에서는 opamp와 mcu를 올리기 싫어서인지 원가절감을 위해서인지 PCB 를 재설계하는 것을 원치않았다. 시소닉 팬컨은 오직 온도에만 기반한다. 많은 PSU 회사들이 그렇듯, 시소닉도 팬커브 그래프를 그릴때, xx축에 온도 대신 부하율을 적는데, 그 부하율은 25ºC 인 공간에서 측정된 것이고, 부하가 높아져 온도가 올라가면 그때가서 팬이 도는데, 그 지점들을 기록해서 plot 하는 것이 팬커브이다.

 

시작 RPM이 높은 이유에 관해서 : 시소닉이 PWM지원 팬이 아닌 DC 전압로 팬속을 조절하는 팬을 쓰기때문이다. (시스템 쿨링팬 3핀 vs 4핀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팬들은 팬을 돌리기 위한 최소 전압이라는게 존재한다. PWM 신호는 펄스 간격을 조절하여 이러한 전압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PWM Controller가 필요했는데, 시소닉이 PWM Controller를 위해 15 cent를 더 투자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컴퓨터 킬 때 풀스피드로 도는 이유에 관해서 : AXi 시리즈만 그러한데, MCU를 리프로그램하기 위해서 fan curve를 다시 측정해야하기 때문이다. (팬 각 개체마다 편차가 있기 때문) 하지만 커세어측에서는 팬들이 그닥 서로 다르지않아, 이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HXi와 새로운 Zero RPM 팬들은 급회전하지 않는다. 단지, 팬이 제대로 도는지 확인하는 초기 회전 테스트만 하는데 650RPM에서 3초정도로만 돌기 때문에 듣기는 힘들 것.

 

 

4.  With pretty much every Corsair PSU, Corsair's engineering team is allowed to do...well... engineering.

 

But when working with Seasonic, Corsair's hands are a little more tied. As I said in my previous post, the fan controller is not as fine tuned as other Corsair PSUs.

 

At least Seasonic let Corsair pick their own fan motor, so there isn't the low RPM motor noise that some users experience with the similar PSUs using the same model fan.

 

대체로 모든 커세어 PSU 를 작업할때는, 커세어 엔지니어팀에서 잘.. 만든다..

 

하지만 시소닉 OEM의 경우에는, 커세어 쪽에서는 제약이 더 많다. 팬컨만 해도 Corsair PSU마냥 잘 조정할수가 없다.

 

그래도 시소닉이 커세어측에 팬 모터를 선택하게는 해줘서 같은 팬 모델을 사용하는 비슷한 PSU에서는 저 RPM에서는 모터 소음이 나는데, 커세어모델은 그렇지 않음.

 

 

제 멋대로 번역한 부분이 몇 개 있어서 영어 원문을 읽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최근 시소닉 1300W 모델의 팬소음 때문에 말이 많았는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팬커브와 실사용평이 왜 이렇게 갈리는지에 대한 단서가 보이는군요.

GX1300, PX1300 시소닉 고용량 모델 팬소음때문에 불평글이 많이올라왔었는데, 이에 대한 답이 될만한 글임.

전에 T사와 E사의 80plus 인증관련하여 쿨엔조이 파워게시판에서 말이 많았다. 그때 쓴 글을 블로그로 가져옴.

 

가끔가다가 보면, 80plus 인증이 무슨 대단한 인증인 마냥 아시는 분들이 좀 있는 것 같아 인식을 바로 잡고자 적습니다.

 

1. 80 Plus 인증은 오직 효율(및 역률)에 관한 것이지 안전성이나 리플 등 다른 요소에 대한 인증이 아닙니다.

https://www.clearesult.com/80plus/program-details-information#what-is-80plus-specification

 

What is the 80 PLUS specification?

The 80 PLUS performance specification requires multi-output power supplies in computers and servers to be 80% or greater energy efficient at 20%, 50% and 100% of rated load with a true power factor of 0.9 or greater. This makes an 80 PLUS certified power supply substantially more efficient than typical power supplies and creates a unique market differentiation opportunity for power supply and computer manufacturers

 

아웃풋 / 인풋 효율과 역률만 봅니다. 

 

https://www.maketecheasier.com/80-plus-power-supply-ratings/

 

80 Plus 인증표 내용 보신 분들은 아실겁니다. 별 거 없습니다. 

 

 

PF라고 표시된 부분이 역률 (Power Factor) 그리고 가장 우측에 효율 (Efficiency)

 

이거 딱 2개만 봅니다. 고조파 왜곡 전류값이 표기되어있긴 하나 인증받는데에는 신경쓰지않는 지표입니다.

 

- 보호회로 포함 및 작동 여부에 관한건 테스트조차 하지 않습니다.

 

- 만약 80Plus 가 안전성에 관한 인증이였다면, S 사의 브론즈, 실버, 골드 모델에서 하드킬이 발생했을까요?

 

파워서플라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인증인 80plus, cybernetics

 

둘 다 파워 안전성의 무결성을 보증해주는 인증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cybernetics 쪽이 80plus 보다는 훠얼씬 낫습니다. 

 

2. 파워 구매하는 입장에서 80plus 인증 고려해야할 사항이냐? 솔직히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구형모델 인증가져다가 신형모델 광고에 이용하는 T사의 경우 쿨엔 벤치 보시면 다 광고하는 대로 효율 나옵니다. 옆동네 벤치 가셔도 마찬가지입니다.

 

애초에 80Plus 인증이 그냥 효율이랑 역률만 따지는 인증인데 지금은 마케팅 잘되서 인증값 장사하고 있죠. 애네가 괜히 인증비용 올렸겠습니까?

 

https://coolenjoy.net/bbs/38/2576452

 

대부분 제조사에서는 80plus 인증으로 자사 라인업 급나누기를 하고있으니, 본인 예산에 맞추어 맞는 용량의 파워를 구매하면됩니다.

 

3. 그렇다고 해서 인증안받은거, 또는 구형모델 인증가져다가 인증받은 것 처럼 마케팅, 광고 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통사측에서 잘못한 것입니다.

 

(E사의 경우 유통사 인수합병 이후에는 영수증 지참시 환불을 한다고 공지했고 영수증 첨부가 어려운 중고물품의 경우에는 2차 공지가 있다고 유통사측에서 말을 하더라구요.)

 

소비자 권익차원에서 이는 재발방지를 촉구하는게 맞습니다.

 

 

 

결론 

마케팅목적으로만 남은 80Plus 인증, 그렇게 대단한 것도 아니고 파워 구매하는 입장에서 효율만 잘 나온다면 신경쓸 필요 없다.

 

 

 

이 때 E사는 에너맥스, T사는 탑파워를 지칭. 각 회사의 국내 수입, 유통사는 씨넥스존(에너맥스코리아)하고 탑파워코리아

탑파워는 구형 파워 모델의 인증을 가져다가 그대로 쓰는걸로 말이 나온것이였고 (마이너한 변경은 상관없지만 가디언 모델같은 경우는 기존모델과는 차이점이 많은지라 이런식으로 인증을 가져다 쓰면 안되는 상황임)

에너맥스는 EPM1700EGT 모델의 80plus 인증내역이 없었는데 상품정보에 80plus Platinum인증을 받은 것처럼 표기하여 문제가 되었음.

에너맥스 홈페이지 안내문

나는 씨넥스존에서 고의로 이런 일을 벌였다고 보지는 않는다. 지금은 수정되었지만 에너맥스 영문 홈페이지에서도 80Plus Platinum Level 효율(80Plus Platinum 효율이라고는 안했다.. 현재는 90plus ready 라는 식의 문구로 대체됨) 이라고 광고를 때리고 80Plus Platinum 인증 마크도 달고 광고했던지라 아마도 수입사측에서 별 검증없이 그대로 가져다 썼는데 문제가 되버린 케이스같음.

 

다만 요즘에는 에너맥스 제품을 좀 추천하기가 뭐 그런 일이 있는데, 시소닉 셧다운 이슈와 관련해서 바이럴 마케팅을 한 정황이 의심되어서.. 물론 의심만이고 확실한것은 아님.. 

+ Recent posts